🌠 문제

문자열 before와 aft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before의 순서를 바꾸어 after를 만들 수 있으면 1을, 만들 수 없으면 0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 제한사항

  • 0 < before의 길이 == after의 길이 < 1,000
  • before와 after는 모두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입출력 예

before after result
"olleh" "hello" 1
"allpe" "apple" 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olleh"의 순서를 바꾸면 "hello"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2

  • "allpe"의 순서를 바꿔도 "apple"을 만들 수 없습니다.

🧞 풀이

function solution(before, after) {
    let b = before.split("").sort();
    let a = after.split("").sort();
    
    if (b.length != a.length) {
        return 0;
    }
    
    while (b.length != 0 && a.length != 0) {
        let tmp_b = b.shift();
        let tmp_a = a.shift();
        if (tmp_b != tmp_a) {
            return 0;
        }
    }
    return 1;
}

🌠 문제

이진수를 의미하는 두 개의 문자열 bin1과 bin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두 이진수의 합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return 값은 이진수를 의미하는 문자열입니다.
  • 1 ≤ bin1, bin2의 길이 ≤ 10
  • bin1과 bin2는 0과 1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bin1과 bin2는 "0"을 제외하고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 입출력 예

bin1 bin2 result
"10" "11" "101"
"1001" "1111" "1100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0 + 11 = 101 이므로 "101" 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1001 + 1111 = 11000 이므로 "11000"을 return합니다.

🧞 풀이

function solution(bin1, bin2) {
    let a = parseInt(bin1, 2);
    let b = parseInt(bin2, 2);
    let c = a + b;
    return c.toString(2);
}

🌠 문제

프로그래머스 치킨은 치킨을 시켜먹으면 한 마리당 쿠폰을 한 장 발급합니다. 쿠폰을 열 장 모으면 치킨을 한 마리 서비스로 받을 수 있고, 서비스 치킨에도 쿠폰이 발급됩니다. 시켜먹은 치킨의 수 chicke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받을 수 있는 최대 서비스 치킨의 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chicken은 정수입니다.
  • 0 ≤ chicken ≤ 1,000,000

🌠 입출력 예

chicken result
100 11
1,081 12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00마리를 주문하면 쿠폰이 100장 발급되므로 서비스 치킨 10마리를 주문할 수 있습니다.
  • 10마리를 주문하면 쿠폰이 10장 발급되므로 서비스 치킨 1마리를 주문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10 + 1 = 11 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1081마리를 주문하면 쿠폰이 1081장 발급되므로 서비스 치킨 108마리를 주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쿠폰이 1장 남습니다.
  • 108마리를 주문하면 쿠폰이 108장 발급되므로 서비스 치킨 10마리를 주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쿠폰이 8장 남습니다.
  • 10마리를 주문하면 쿠폰이 10장 발급되므로 서비스 치킨 1마리를 주문할 수 있습니다.
  • 1마리를 주문하면 쿠폰이 1장 발급됩니다.
  • 가지고 있는 쿠폰이 총 10장이므로 서비스 치킨 1마리를 추가로 주문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108 + 10 + 1 + 1 = 120 을 return합니다.

🧞 풀이

function solution(chicken) {
    let service = parseInt(chicken / 10);
    let coupon = chicken % 10;
    coupon += service;
    while (parseInt(coupon / 10) >= 1) {
        let new_service = parseInt(coupon / 10);
        service += new_service;
        coupon = coupon % 10;
        coupon += new_service;
    }
    return service;
}

🌠 문제

영어 점수와 수학 점수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학생들의 등수를 매기려고 합니다. 영어 점수와 수학 점수를 담은 2차원 정수 배열 score가 주어질 때, 영어 점수와 수학 점수의 평균을 기준으로 매긴 등수를 담은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0 ≤ score[0], score[1] ≤ 100
  • 1 ≤ score의 길이 ≤ 10
  • score의 원소 길이는 2입니다.
  • score는 중복된 원소를 갖지 않습니다.

🌠 입출력 예

score result
[[80, 70], [90, 50], [40, 70], [50, 80]] [1, 2, 4, 3]
[[80, 70], [70, 80], [30, 50], [90, 100], [100, 90], [100, 100], [10, 30]] [4, 4, 6, 2, 2, 1, 7]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평균은 각각 75, 70, 55, 65 이므로 등수를 매겨 [1, 2, 4, 3]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평균은 각각 75, 75, 40, 95, 95, 100, 20 이므로 [4, 4, 6, 2, 2, 1, 7] 을 return합니다.
  • 공동 2등이 두 명, 공동 4등이 2명 이므로 3등과 5등은 없습니다.

🧞 풀이

function solution(score) {
    const len = score.length;
    let new_arr = [];
    while (score.length != 0) {
        let tmp = score.shift();
        let avg = (tmp[0] + tmp[1]) / 2;
        new_arr.push(avg);
    }
    
    let answer = new Array(len);
    answer.fill(-1);

    let k = 1;

    while (new_arr.filter(e => 0 === e).length != new_arr.length) {
        let max = Math.max.apply(Math, new_arr);
        let cnt = 0;
        while (max === Math.max.apply(Math, new_arr)) {
            let idx = new_arr.indexOf(max);
            answer[idx] = k;
            new_arr[idx] = 0;
            cnt += 1;
        }
        k += cnt;
    }
    
    while (answer.indexOf(-1) != -1) {
        answer[answer.indexOf(-1)] = Math.max.apply(Math, answer) + 1;
    }
    
    return answer;
}

🌠 문제

머쓱이는 프로그래머스에 로그인하려고 합니다. 머쓱이가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담긴 배열 id_pw와 회원들의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db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이 로그인 성공, 실패에 따른 메시지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모두 일치하는 회원정보가 있으면 "login"을 return합니다.
로그인이 실패했을 때 아이디가 일치하는 회원이 없다면 “fail”를, 아이디는 일치하지만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회원이 없다면 “wrong pw”를 return 합니다.

🌠 제한사항

  • 회원들의 아이디는 문자열입니다.
  • 회원들의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회원들의 패스워드는 숫자로 구성된 문자열입니다.
  • 회원들의 비밀번호는 같을 수 있지만 아이디는 같을 수 없습니다.
  • id_pw의 길이는 2입니다.
  • id_pw와 db의 원소는 [아이디, 패스워드] 형태입니다.
  • 1 ≤ 아이디의 길이 ≤ 15
  • 1 ≤ 비밀번호의 길이 ≤ 6
  • 1 ≤ db의 길이 ≤ 10
  • db의 원소의 길이는 2입니다.

🌠 입출력 예

id_pw db result
["meosseugi", "1234"] [["rardss", "123"], ["yyoom", "1234"], ["meosseugi", "1234"]] "login"
["programmer01", "15789"] [["programmer02", "111111"], ["programmer00", "134"], ["programmer01", "1145"]] "wrong pw"
["rabbit04", "98761"] [["jaja11", "98761"], ["krong0313", "29440"], ["rabbit00", "111333"]] "fail"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db에 같은 정보의 계정이 있으므로 "login"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db에 아이디는 같지만 패스워드가 다른 계정이 있으므로 "wrong pw"를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3

  • db에 아이디가 맞는 계정이 없으므로 "fail"을 return합니다.

🧞 풀이

function solution(id_pw, db) {
    let status = "";
    while (db.length != 0) {
        let tmp = db.shift();
        if (tmp[0] === id_pw[0]) {
            if (tmp[1] === id_pw[1]) {
                status = "login";
            } else {
                status = "wrong pw";
            }
            break;
        } else {
            status = "fail";
        }
    }
    return status;
}

🌠 문제

머쓱이는 태어난 지 6개월 된 조카를 돌보고 있습니다. 조카는 아직 "aya", "ye", "woo", "ma" 네 가지 발음을 최대 한 번씩 사용해 조합한(이어 붙인) 발음밖에 하지 못합니다. 문자열 배열 babbl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의 조카가 발음할 수 있는 단어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1 ≤ babbling의 길이 ≤ 100
  • 1 ≤ babbling[i]의 길이 ≤ 15
  • babbling의 각 문자열에서 "aya", "ye", "woo", "ma"는 각각 최대 한 번씩만 등장합니다.
  • 즉, 각 문자열의 가능한 모든 부분 문자열 중에서 "aya", "ye", "woo", "ma"가 한 번씩만 등장합니다.
  • 문자열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입출력 예

babbling result
["aya", "yee", "u", "maa", "wyeoo"] 1
["ayaye", "uuuma", "ye", "yemawoo", "ayaa"] 3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aya", "yee", "u", "maa", "wyeoo"]에서 발음할 수 있는 것은 "aya"뿐입니다. 따라서 1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ayaye", "uuuma", "ye", "yemawoo", "ayaa"]에서 발음할 수 있는 것은 "aya" + "ye" = "ayaye", "ye", "ye" + "ma" + "woo" = "yemawoo"로 3개입니다. 따라서 3을 return합니다.

유의사항

  • 네 가지를 붙여 만들 수 있는 발음 이외에는 어떤 발음도 할 수 없는 것으로 규정합니다. 예를 들어 "woowo"는 "woo"는 발음할 수 있지만 "wo"를 발음할 수 없기 때문에 할 수 없는 발음입니다.

🧞 풀이

function solution(babbling) {
    let regex = /aya|ye|woo|ma/g;
    let answer = 0;
    for (i in babbling) {
        let test = babbling[i].replace(regex, "");
        if (test === "") {
            answer += 1;
        }
    }
    return answer;
}

🌠 문제

정수 n을 기준으로 n과 가까운 수부터 정렬하려고 합니다. 이때 n으로부터의 거리가 같다면 더 큰 수를 앞에 오도록 배치합니다. 정수가 담긴 배열 numlist와 정수 n이 주어질 때 numlist의 원소를 n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정렬한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1 ≤ n ≤ 10,000
  • 1 ≤ numlist의 원소 ≤ 10,000
  • 1 ≤ numlist의 길이 ≤ 100
  • numlist는 중복된 원소를 갖지 않습니다.

🌠 입출력 예

numlist n result
[1, 2, 3, 4, 5, 6] 4 [4, 5, 3, 6, 2, 1]
[10000,20,36,47,40,6,10,7000] 30 [36, 40, 20, 47, 10, 6, 7000, 1000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4에서 가까운 순으로 [4, 5, 3, 6, 2, 1]을 return합니다.
  • 3과 5는 거리가 같으므로 더 큰 5가 앞에 와야 합니다.
  • 2와 6은 거리가 같으므로 더 큰 6이 앞에 와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30에서 가까운 순으로 [36, 40, 20, 47, 10, 6, 7000, 10000]을 return합니다.
  • 20과 40은 거리가 같으므로 더 큰 40이 앞에 와야 합니다.

🧞 풀이

function solution(numlist, n) {
    return numlist.sort((a, b) => Math.abs(a - n) - Math.abs(b - n) || b - a);
}

🌠 문제

선분 3개가 평행하게 놓여 있습니다. 세 선분의 시작과 끝 좌표가 [[start, end], [start, end], [start, end]] 형태로 들어있는 2차원 배열 lin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두 개 이상의 선분이 겹치는 부분의 길이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lines가 [[0, 2], [-3, -1], [-2, 1]]일 때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선분이 두 개 이상 겹친 곳은 [-2, -1], [0, 1]로 길이 2만큼 겹쳐있습니다.

🌠 제한사항

  • lines의 길이 = 3
  • lines의 원소의 길이 = 2
  • 모든 선분은 길이가 1 이상입니다.
  • lines의 원소는 [a, b] 형태이며, a, b는 각각 선분의 양 끝점 입니다.
  • -100 ≤ a < b ≤ 100

🌠 입출력 예

lines result
[[0, 1], [2, 5], [3, 9]] 2
[[-1, 1], [1, 3], [3, 9]] 0
[[0, 5], [3, 9], [1, 1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두 번째, 세 번째 선분 [2, 5], [3, 9]가 [3, 5] 구간에 겹쳐있으므로 2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겹친 선분이 없으므로 0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 첫 번째와 두 번째 선분이 [3, 5] 구간에서 겹칩니다.
  • 첫 번째와 세 번째 선분 [1, 5] 구간에서 겹칩니다.
  • 두 번째와 세 번째 선분 [3, 9] 구간에서 겹칩니다.
  • 따라서 [1, 9] 구간에 두 개 이상의 선분이 겹쳐있으므로, 8을 return 합니다.

🧞 풀이

function solution(lines) {

    let linesmap = new Array(200);
    linesmap.fill(0);
    
    for (let i = 0; i <= 2; i ++) {
        let left = lines[i][0];
        let right = lines[i][1];
        
        for (let j = left; j < right; j++) {
            linesmap[j+100] += 1;
        }
    }
    
    let answer = 0;
    
    for ( let k in linesmap) {
        if (linesmap[k] > 1) {
            answer += 1;
        }
    }
    
    return answer;
}

+ Recent posts